MZ세대 조직폭력배와 보험설계사가 포함된 브로커 조직이 가짜 환자를 모집하여 보험금을 편취한 조직형 보험사기의 전말이 밝혀졌다.
이들은 실손보험이 있는 가짜 환자를 모집한 후, 허위 보험금 청구를 대행했다. 이 과정에서 의료진이 브로커들과 공모해 허위 수술 기록을 발급한 정황도 포착되었다.
28일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9월 보험사기 신고센터에 접수된 정보를 바탕으로 여성형 유방증 등의 허위 수술 기록을 통해 21억 원의 보험금을 편취한 조직형 보험사기에 대한 기획 조사를 실시한 후, 서울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했고, 그 결과 서울경찰청이 올해 5월 기업형 브로커와 병원, 가짜 환자로 구성된 보험사기 조직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보험사기 일당의 범행 수법을 보면, 먼저 MZ세대 조직폭력배와 보험설계사가 포함된 브로커 조직이 가짜 환자를 모집했다.
조직폭력배 일원인 A씨는 기업형 브로커 조직을 설립해 보험사기 총책으로서 범죄를 기획하고, 해당 조직의 대표 B씨는 보험사기 공모 병원의 이사로 활동하며 실손보험이 있는 가짜 환자를 모집했다.
초대형 보험대리점 소속 보험설계사 C씨는 해당 조직이 모집한 가짜 환자에게 보험상품 보장 내역을 분석해 추가로 보험에 가입하도록 하고, 허위 보험금 청구를 대행해주었다. 보험회사가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금융감독원에 민원을 제기하는 방법까지 매뉴얼로 배포했다.
이후 의료진이 허위 수술 기록을 발급했다. 의료진 D씨와 E씨는 텔레그램으로 가짜 환자 명단을 브로커들과 공유하며 여성형 유방증, 다한증 등 허위 수술 기록을 발급하고 브로커들과 매월 실적에 따라 수수료를 정산했다.
이들 일당은 증거를 남기지 않기 위해 매월 텔레그램 단체방을 삭제하고 신규로 개설하는 치밀함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수술을 하지 않아 남은 프로포폴 등 마약성 마취제는 일부 의료진이 직접 투약하거나 유통한 혐의도 발견되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약 2279개의 마취 앰플이 개당 35~50만 원(총 10억 2000만 원)에 거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험사기에 가담한 환자들 중 일부는 수술 흔적으로 위장하기 위해 고의로 상처를 내거나 병원에서 발급해준 다른 사람의 수술 전후 사진을 제출했다.
또한 이들은 수술 흔적으로 위장하기 위해 고의로 상처를 내 보험금을 편취했다. 다수 조직폭력배 조직이 포함된 가짜 환자들(260여 명)은 주로 입원실에서 단순히 채혈만 하고 6시간 동안 머문 후 퇴원하면서 허위 진료 기록을 발급받아 보험금으로 1인당 평균 800만 원, 총 21억 원을 청구했다.
이는 통상 6시간 이상 병실에 머무르면 통원이 아닌 입원으로 인정되어 보험금을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악용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일부 조직폭력배는 적발을 피하기 위해 가슴 부분에 수술 흔적을 위장한 상처 자국을 내거나 병원에서 발급해준 다른 사람의 수술 전후 사진을 제출하기도 했다. 보험회사에 제출한 사진에는 문신이 없으나 SNS에 올린 상반신 사진에는 문신이 있는 점 등이 발견되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브로커와 병의원이 연계된 조직형 보험사기를 척결하기 위해 올해 초 금융감독원과 경찰청이 MOU를 체결한 이후 첫 번째 가시적인 성과를 이룬 사례”라고 설명했다.
또한 “브로커 조직이 갈수록 기업화·대형화되면서 교묘한 수법으로 환자를 유인하고 있는 추세인데, 보험사기를 주도한 병원이나 브로커뿐만 아니라 이들의 솔깃한 제안에 동조·가담한 환자들도 형사처벌을 받은 사례가 다수 있으므로 보험계약자들은 보험사기에 연루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험사기는 보험제도의 근간을 훼손하고 선량한 보험가입자의 보험료 인상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민생 침해 금융범죄이므로 금융감독원과 경찰청은 향후에도 보험사기 척결을 위해 적극 공조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돌 그룹 '뉴진스'에 대해 알아보자 (멤버별 국적) (8) | 2024.07.09 |
---|---|
북한미상물체 대남전단 추정(북한위성 실패의 결과물?) (0) | 2024.05.30 |
펜데믹뜻 (0) | 2020.03.13 |
타다금지법 통과 가결 (2020.03.07) 운수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 (0) | 202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