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경찰

삼국시대 주요 왕업적

삼국시대 주요 왕들의 업적정리

고구려 (건국 : B.C 37 졸본. 고주몽(동명성왕). 부여에서 온 유이민과 압록강 유역의 토착민 집단이 결합)
태조왕
(53~146)
(6대) 옥저와 동예, 숙신 정복하여 함경도 지방 확보,
서쪽으로 현도군 공격 흥경에서 무순으로 축출,
요동 공략하여 만주지방으로 세력 확대,
5부제(5부족 연맹체: 부족적 전통단계),
독점적 왕위세습(그동안 소노부(연노부)가 왕족이었으나 태조왕부터 계루부[高씨]에서 왕위 세습),
A.D. 1C경 삼국 중 가장 먼저 고대국가 기틀 마련
고국천왕 (179~197)
(9대) 진대법 실시(194, 재상 을파소 건의),
왕위(형제상속→ 부자상속; 계루부의 왕권강화 의미),
5부제 개편(부족적 전통단계→ 행정적 성격으로: 5부족을 5部로),
왕권강화 및 중앙집권화 진전
동천왕 (227~248)
(11대) 삼국(위·촉·오)의 분열을 이용하여 오와 교류하고 위를 견제함.
위(魏)와 국경을 접하게 되어 서안평을 공격하다가 오히려 위장 관구검의 침입으로 국내성이 한 때 함락됨.
미천왕 (300~331)
(15대) 서안평 점령(311),
낙랑군 축출(313, 한군현 소멸, 고조선의 옛 영토 대부분 수복)
고국원왕 (331~371)
(16대) 지방 족장 세력(부족들의 힘)을 조직적으로 통합·통솔하지 못함으로서 외침을 받음 ⇨ 북으로부터 전연의 선비족 모용황의 침략(요동지방을 놓고 치열한 공방전)으로 수도(국내성)가 함락되었으며, 남으로부터는 백제 근초고왕의 침략을 받아 평양성에서 고국원왕이 전사(371)하여 국가적 위기를 맞기도 함
소수림왕 (371~384)
(17대) 불교수용(372, 전진-순도),
태학설립(372): 관립대학,
율령반포(373)하여 고대국가 체제 완성,
⇒중앙집권국가로의 체제강화
광개토대왕
(391~412)
(19대) 만주지방 대규모 정복사업 단행,
중국 5호 16국 혼란기 이용하여 선비족인 후연 공격하였고 요동정벌 확보,
영락5년 비려(거란족이 세움)정복,
396년 백제정벌,
398년 읍루<숙신(여진족)>를 정벌 서북부 지방으로 진출,
군사 5만을 보내 신라(내물왕의 요청)에 침입한 왜(백제와의 연합군) 격퇴(400)로 한반도 남부지방까지 영향력 확대 및 신라와 교류(호우명 그릇),
410년 동부여를 정벌, 동예를 통합하여 신라와 하슬라를 경계로 삼았다.
4C 후반 국제정세는 (고구려와 전진, 신라)는 우호적 관계인 반면 (백제는 동진, 왜)와 연결.
백제 압박 한강이북 점령,
우리나라 최초 연호 사용: ‘영락(永樂)’
장수왕
(412~491)
(20대) 동진과 국교(412),
광개토대왕비 건립(2년, 414),
국내성→평양 천도(427, 옛 고구려 5부족의 세력 약화 및 왕권강화 위해),
우리나라 최초 사학인 경당 설치(427, 지방에 세운 사립학교로 지방 청소년을 대상으로 무예와 한학 교육, 평민자제 입학 可),
중국 남북조의 대립을 교묘히 이용하면서 교류·견제.
백제수도 한성 함락(475, 개로왕 패사),
죽령(신라)~남양만(백제) 이북 확보하여 한강이남 차지[충북 중원고구려비 건립(480)],
만주와 한반도에 걸친 광대한 영토 차지
*경당-군사양성 기능을 가진 청소년 조직
문자(명)왕 (491~519)
(21대) 동부여 복속(494)함으로써 부여를 완전 정복하고 고구려 최대의 영토 확보
영양왕 (590~618)
(26대) 빼앗긴 한강유역을 되찾기 위해 590년 온달장군을 보냈으나 아차산성에서 전사하여 실패.
중국 남·북조의 대립을 적절히 이용하던 고구려(장수왕 때부터)는 중국을 통일한 수(隋,581)의 등장과 극성기를 맞이한 신라의 친수정책에 직면하자 남으로 백제, 북으로는 수를 위협하는 돌궐과 연결하고 598년 말갈군을 데리고 영주(요서지방)를 먼저 공격. 이에 수 문제의 30만 대군의 침공을 받음.
1차 침입(영양왕 598), 2차(612, 을지문덕-살수대첩), 3차(613), 4차(614, 영양왕) ⇐ 수 멸망(618년) 원인이 됨.
태학박사 이문진에게 명하여「유기」100권을 재 편수, 「신집」5권을 만들게 함(600년)
보장왕 (642~668)
(28대) 수의 뒤를 이어 당 건국(618년).
당 태종이 화친 청하나 강경파 수상 연개소문은 천리장성을 쌓으면서 전쟁을 준비.
반대파인 영류왕을 죽이고 왕의 조카인 보장왕을 옹립한 다음 정치·군사권 장악 독재정치.
연개소문은 신라에 강경책을 쓰기 위해 백제와 힘을 합쳐 신라가 차지하던 당항성(남양만)을 빼앗고, 한강유역의 반환을 요구하는 등 압박을 가하자 신라는 당과 연결하게 됨.
당은 건국(618년) 이후 고구려 정복 야욕 → 연개소문의 대당강경책(천리장성 축조: 7C),
당태종이 침략(645)하여 안시성(양만춘)에서 패하여 돌아감.
668년 나·당 연합군에게 패하여 고구려는 멸망당함.

백 제 ( 건국 : B.C18 한강유역의 토착민과 고구려 계통의 북방 유이민(지배층이 됨)의 결합으로 성립 )
고이왕 (234~286)
(8대) 한강유역 완전 장악,
율령반포(260),
관등제 정비<6좌평 16관등>(260),
관리복색 제정(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여 지방 족장들을 중앙관료로 흡수),
중앙집권국가 토대 형성,
중국문물 수용,
남당(도당) 설치
백제의 시조로 추앙(周書)
근초고왕
(346~375)
(13대) 부자상속제(부여씨 왕위세습제 성립),
중앙집권적 귀족국가 체제 확립(고대국가 완성).
영토확장: 마한 대부분을 정복하여 전남 해안지역까지 확장(369),
황해도지역을 두고 고구려와 대결,
평양성 공격 고국원왕 전사시킴(371),
가야정벌(가야 7국을 병합하여 지배권 행사),
활발한 대외 활동으로 중국 요서지방에 진출하여 요서군 설치하고 이곳을 대중국 무역기지로 활용·산둥지방에도 상인들이 진출,
중국 동진과 교류(동진에서 불교 받아들임),
일본 규슈지방까지 진출 무역활동 전개,
아직기·왕인 등을 일본에 보내 학문·문화 전파.
칠지도 하사(칠지도는 백제가 친선외교의 제안으로 근초고왕의 아들 근구수왕이 일본 후왕에게 주었던 일종의 하사품).
박사 고흥으로 하여금 ‘서기’(375) 펴내게 함(현전하지 않음). 이 책은 ‘일본서기’의 모체가 됨.
침류왕 (384~385)
(15대) 불교공인(384)하여 중앙집권체제를 사상적으로 뒷받침
문주왕 (475~477)
(22대) 개로왕의 아들로 상좌평을 지내다가 고구려 장수왕의 남하정책에 밀려 한강유역의 땅을 빼앗긴 직후 왕위에 올라 도읍을 한성에서 웅진(공주)으로 옮김(475년)
동성왕 (479~501)
(24대) 수도에 나성, 주변에 산성 축조하여 방어하고 고구려에 대항.
외척세력 배제하고 왕권 강화하여 국력 회복되기 시작.
신라왕족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여 결혼동맹(493, 신라 소지왕과: 고구려 문자왕 초)을 맺어 나·제 동맹(433, 비유왕~눌지왕)을 더욱 강화시킴,
신라와 연합 고구려와 싸움(495),
탐라 복속(498)
무령왕 (501~523)
(25대) 한강유역에 쌍현성 쌓아 국방 강화하고 백제 중흥의 발판 마련,
왕권 강화책(중국 군현제와 비슷한 22담로를 지방 주요지점에 설치하여 왕자나 왕족, 지방귀족을 파견하여 직접 다스리면서 지방에 대한 통제강화)→ 중앙집권 강화,
중국 남조의 ‘양’과 화친하여 국가를 안정시킴,
고구려에는 공격적인 입장,
왜와 교류(웅진천도를 전후하여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일본 황실과 긴밀한 혼인관계를 맺음-전지왕, 동성왕, 무령왕, 혜왕),
공주 송산리에서 능 발굴(1971, 벽돌무덤, 현존 최고의 지석 발견)
성왕(523~554)
<무령왕 아들>
(26대) 왕권과 국력 강화를 위해 사비(부여)로 천도<538, 63년 만에. ✻ 백제 멸망(660) 때까지 6대 왕에 걸쳐 123년간 백제의 수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변경,
중앙관제와 지방제도 정비(중앙관제를 22부로 확대·정비하고 수도를 5부(장관: 달솔), 지방을 5방(장관: 방령)으로 정비,
중국 남조와 활발한 교류, ‘양’과 화친을 강화,
신라 진흥왕과 연합하여 한강유역 수복(551, 상류-신라, 하류지역-백제가 장악),
승려 겸익을 등용 불교를 진흥시키고, 왜에 불상, 경론뿐 아니라 노리사치계로 하여금 처음으로 불교·불상을 전파(552년),
진흥왕의 배신으로 한강유역을 신라에 빼앗겨(553)(나·제 동맹 결렬553년) 일본과 연합군을 결성하여 공격하였다가 관산성(옥천) 전투에서 신라의 군주 김무력 장군에게 전사(554)
무왕 (600~641)
(30대) 서동요, 친당책, 신라와 자주 충돌,
불교 융성[미륵사(익산), 왕흥사(사비성) 건립].
궁남지 <무왕 35년(634), 우리나라 인공연못 가운데 가장 오래됨>
의자왕 (641~660)
(31대) 무왕의 아들. 해동증자라 함,
당항성(남양)을 빼앗고 대야성(합천)을 비롯한 40여성 함락. 이로써 옛 가야지방을 모두 빼앗고 한강유역을 다시 되찾는 등 마지막 전성기 구가,
사택지적비 건립(654, 도교사상)
만년에는 사치와 향락에 빠짐
신라 (건국 : B.C.57~A.D.935 경주의 토착집단과 유이민 집단의 결합)
➠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왕
사로국 박·석·김의 3성이 번갈아 왕위 차지,
주요 집단들의 독자적인 세력 기반 유지 → 유력 집단의 우두머리는 이사금으로 추대 ⇨
이사금까지 3성 교립제가 시행되었고 마립간부터는 김 씨가 독점
내물마립간
(17代)
(356~402),
사로국 3성(박·석·김) 교립제가 끝나고 김 씨에 의한 왕위계승권 확립(군장의 칭호도 이사금에서 마립간으로 바뀜),
활발한 정복활동을 통해 낙동강 동쪽 진한을 점령(통합)하고 중앙집권국가로 발전하기 시작.
고구려를 통하여 전진과 통교(377)하고 중국문물 수용,
광개토대왕 지원으로 백제와의 연합군인 왜 격퇴(400)
눌지마립간
(19代)
(417~458),
사로국 왕위 부자상속제,
수도에 사로 6촌을 6부의 행정구역으로 개편하여 중앙집권 강화,
처음으로 불교 전파(457, 고구려를 거쳐 온 묵호자(아도)라는 승려가 민간 차원의 비밀 포교). 그 후 양의 원표가 경주에 오면서 비로소 왕실에 불교가 퍼졌으나 전통신앙과의 대립을 우려한 귀족들의 반발로 공인되지 못함.
나·제 동맹 결성<433, 비유왕(백제): 고구려의 간섭 배제하고자, 평양천도 6년 후>
소지마립간
(21代)
(479~500),
사로국 결혼동맹 체결<493, 동성왕(백제)>
우역 설치(공문서 송달), 경주에 시장 개설(490)
지증왕 (22代)
(500~514),
신라 국호를 사로국→신라[덕업일신 망라사방(德業日新 網羅四方]로 하고 왕의 칭호를 변경(503, 마립간→왕),
수도와 지방의 행정구역[주(州)·군(郡)] 정리.
동시전(東市典) 설치(509).
우산국(울릉도) 복속(512).
북위에 사신을 보내 교류 강화.
순장 금지(3년:502)하고 상복을 입도록 함.
처음으로 우경 실시.
법흥왕 (514~540)
(지증왕의 자)
(23代) 지증왕대의 개혁 조치를 바탕으로 율령을 반포하고 군사제도를 정비했으며 불교를 공인하여 신라가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를 갖추도록 하였다.
병부설치(517)하여 왕이 군권을 장악.
율령반포(520)하고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여 귀족을 관료로 포섭시켜 등급화 함.
각부의 하급관료기구를 흡수하여 17관등제 정비.
관등제는 골품제도와 결합하여 운영된 왕경인의 관등급제.
521년 양(梁)나라와 국교.
가야-신라와 혼인동맹<이뇌왕(대가야 9대왕)-법흥왕, 522년>.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공인(527).
상대등을 새로 설치(531)하여 국사를 총리하게 함.
금관가야(본가야) 정복(532), 낙동강 유역 확보.
신라 최초의 독자적 연호 사용: ‘건원(建元)’(536).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승려가 됨.
「법흥」이라는 시호는 불교를 일으켰다는 뜻의 ‘불교식 왕명’

※ 울진봉평신라비<524, 법흥왕 11년(추정)>-율령 반포, 노비법 존재, 17관등의 성립 연대 등을 알 수 있음
진흥왕(540~576)
(6C 중엽)
(24代) 불교를 부흥시켰고 불교교단을 조직하여 국통(고구려 승려 혜량을 맞음)·주통·승통·군통제도를 시행(불교를 통해 사상적 통합 꾀함),
흥륜사 건립(544),
친정을 하게 됨으로써 연호 사용: ‘개국(開國)’(551), 대창(大昌), 홍제(鴻濟)
‘경’ 설치(544, 진흥왕 5년)-백관 감찰기능을 가진 관서 ⇨ 태종무열왕 6년(659) ‘사정부’로 격상됨
거칠부로 하여금「國史」를 편찬하게 함(545)-전하지 않음
남한강 상류인 충북 단양 적성 점령하여 단양적성비 세운(551) 뒤 한강 하류까지 확보한[한강유역 장악(553)] 후 신주(新州)를 설치하고 당항성 확보(중국교섭의 발판, 삼국 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계기),
군사동맹- 백제 성왕과 연맹하여 고구려의 한강 상류지역을 점유(551)했으나 신의를 저버리고 백제가 점유하고 있던 한강 하류지역을 탈취[553, 120여 년간 지속된 나제동맹이 결렬(553)]하고 관산성(옥천)에서 백제 성왕을 전사시킴(554).
대가야 정복(562).
함경도 함흥평야를 점령하고 비열홀주를 설치.
황룡사 준공(566) -불교를 부흥시킴
황룡사 9층 목탑 -선덕여왕 때 자장의 건의에 의해 만들어짐
품주(稟主)라는 신라시대 최고행정기관 설치 -국가기밀사무 담당
순수비 건립.
화랑도를 국가적 조직으로 개편(576)
진평왕(579~632) 위화부·승부·조부·예부·영객부를 설치하는 등 중앙관제 정비.
수(隨)에 원광법사를 보내 걸사표(도움요청 글)를 바치는 등 수·진과의 외교관계 강화.
건복(建福)이라는 연호 사용.
신라의 삼보 중의 하나(진평왕의 옥대, 황룡사 장육존상, 황룡사 9층탑).
남산신성비(591, 남산신성 축조에 대한 서약비로서 신라의 노동력 동원 사실을 알 수 있음).
유교경전의 학습을 알려주는 임신서기석 건립(611)
선덕여왕(632~647) 적극적 친당책으로 영토 확장.
백제 의자왕의 공격으로 40여 성을 빼앗기자 김유신에게 되찾도록 함.
연호를 인평으로 고침.
분황사 건립.
‘자장’의 건의로 호국의 염원인 ‘황룡사 9층 목탑’을 설립하였으나 몽고3차 침입 때 소실.
첨성대 건립(동양 최고의 천문대)
진덕여왕(647~654) 성골의 마지막 왕.
연호를 태화(太和).
품주를 개편하여 ‘집사부’와 ‘창부’로 분리하였으며 좌이방부를 두어 중앙관제 정비.
집사부의 중시(中侍) 강화와 상대등의 세력을 약화시켜 왕과 관료의 권한이 신장됨.
당에 스스로 지은 태평송(송덕시)을 지어 올려 외교관계를 튼튼히 함.
김춘추를 당에 보내 백제 정벌의 원군을 요청(648).
당나라를 본떠 복제를 개편

'잡학 > 경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고려 킬링포인트  (0) 2020.08.27
경찰학 주요주제 정리2  (0) 2020.02.25
경찰학 주요주제 정리  (0) 2020.02.25
한국사 자주틀리는 단답형  (0) 2019.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