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D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샌델 (공리주의)

THE MORAL SIDE OF MURDER.

마이클샌델 교수가 하버드대학교 강의영상을 보았습니다.

강연의 주제는 제레미 벤담의 공리주의에 관한 내용입니다.

 

마이클 샌델

미국의 정치학자로, 1953년 미네소타에서 출생했다. 브랜다이스대학교를 졸업하고 27세에 최연소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29세에 자유주의 이론의 대가인 존 롤스의 정의론을 비판한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1982)를 발표하면서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이 책에서 '공동체주의자'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해, 알레스데어 매킨타이어, 마이클 월저, 찰스 테일러 교수 등과 함께 공동체주의의 4대 이론가 중 한 명이자 존 롤스 이후 정의 분야의 세계적 학자로 평가된다. 1980년부터 30년간 하버드대에서 정치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그의 정의(Justice) 수업은 현재까지 20여 년 동안 하버드대 학생들 사이에서 최고의 명강의로 손꼽힌다.

 

공리주의

"인간은 모두 행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

"행복은 쾌락이 클수록 고통이 적을수록 증가한다"

"인간 행위의 기초는 개인의 행복추구에 있으며, 도덕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목적으로 해야한다"

삶의 모든 순간을 철저한 비용편익분석을 통해 판단을 내렸던 벤담

쾌락-편익 (Benefit) 

고통-비용 (Cost)

정부의 공공정책 기업의신규사업등 경제적의사결정의 근거를 마련한 이론입니다.

 

마이클센델은 공리주의이야기를 하고 가상의 상황과 실제로 일어난 일들에 기초해서

최대다수 최대행복이라면,그 행동이 만들어낼 결과가 긍정적이라면,용납이 가능한 행동들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수업을 이어나갔습니다.

그 예시들이 아주 흥미로웠습니다.

제레미 벤담과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관련 도서에서 답을 찾을수있다고 다음시간에

읽어보도록 하자고 첫수업은 끝이났습니다.

 

몇가지 예시들을 보고 생각을 해보았는데, 최대다수 최대행복으로 도덕적행위가 판단이 내려지는 상황들이

이해가 가지않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이를 어떻게 이야기 하고있는지.

그 이야기들을 통해 저의 지금 가진 생각들에 변화가 있을지 기대도 되고 얼른 2강을 듣고싶은마음입니다.

시간 사정상 2강에 대한 포스팅은 내일..진행하겠습니다.

 

1강에서 나왔던 예시들을 말씀드릴테니 한번 생각 해보시고 , 2강에 대한 포스팅을 보시면 좋을것같습니다.

 

예시 1

브레이크가 고장난 기차가 달려가고있다

앞에는 다섯명의 인부들이 일을 하고있고, 이대로 가다가는 전부 죽는다는것을 알고있다.

다행인지 핸들은 고장이 나지않아서 비상철로에서 핸들을 꺾을수 있는 기회가 있다.

하지만 핸들을 꺾어 비상철로로 들어서면 비상철로에 일하고있던 인부 1명이 죽는다.

당신이 기관사라면 어떻게 할것인가?

 

예시2

브레이크가 고장난 기차가 달려가고있다

앞에는 다섯명의 인부들이 일을 하고있고, 이대로 가다가는 전부 죽는다는것을 알고있다.

그때 너의 눈앞에 한사람이 보인다.

뚱뚱하고 기차를 멈출수있을것같은사람이 철도옆에 기대서 있다.

그사람을 밀면 그사람은 죽지만 다섯명의 인부는 살릴수있다.

당신이 기관사라면 어떻게 할것인가?

 

이렇게 두가지 상황만 봐도 다수의 사람들은 첫번째 예시에서는

핸들을 꺾어서 한명의 인부를 희생시킨다는 의견이 다수였고,

두번째 예시에서는 그래도 어떻게 사람을 밀어서 다수의 사람을 살리냐라는 의견들이

다수였습니다.

이 두가지 문제로만 봤을때 차이점이 생기는건 왜일까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면 두번째 상황에서도

한사람을 희생시켜서 다수를 살리는것이 맞는 선택아닌가요 라는 샌델교수의 질문은 이어졌습니다.

 

실제예시

19세기 영국재판 ' 더들리와 스티븐스 재판'

영국의 미뇨넷호에는 4명의 사람들이 타고있었다.

선장-더들리

1등항해사-스티븐스

선원-브룩스

잡일꾼-리처드 파커

항해를 나갔다가 파도가 배를 강타 미뇨넷호는 침몰하게 된다.

 

4명은 구명보트로 탈출하였으나, 식량이 부족했다

그들에게는 2통의 순무통조림밖에 없었다 식수조차없었다.

4일간 먹지않고 순무하나먹고

거북이잡아먹고 며칠을 버텼다 8일간 음식물을 먹지못하고, 가장어린 17살 고아인 파커는 바닷물을

마시고 쓰러져있었다.

19일이 되던날 선장은 제비뽑기를 제안한다 한명이 희생하자.

브룩스는 이를 거절하고, 제비뽑기는 무산이된다.

다음날 더들리는 파커를 죽이고, 파커의 피와 살을 3일간 먹다가 구조가 된다.

1명이 죽었고 3명이 살아났다.

이들은 살아돌아온후 살인죄로 법원재판에 넘겨진다.

그들의 행동은 도덕적으로 용납이 가능한 행동이었는가?

이에 법적인 문제는 고려하지않고 도덕적으로 판단을 한다면 공리주의에 따라 도덕적으로 용납이 되는건가?

 

이 예시들에 대해 생각들 한번 해보시고,

다음 포스팅에서 벤담과 밀이 어떠한 이야기를 하는지

공리주의에 기초해서 이들의 행동들은 도덕적으로 용납가능한지 살펴보겠습니다.

'T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샌델 (공리주의)2  (1) 2017.11.05
인간관계 외로움과 상처  (1) 2017.09.27
TED 인류공동의 지식자산  (0) 2017.08.17